국민연금공단이 연금 수급자를 위한 ‘공공 실버타운’ 사업의 타당성 검토에 다시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최근 중산층 이상의 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공공 실버타운 조성 사업의 경제적·사회적 타당성을 재검토하고 있다. 이 사업은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검토돼 왔으나, 민간 주도 실버타운과의 경쟁 문제, 수익성 우려 등으로 본격 추진되지 못했던 바 있다.

이번 재검토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공공 노후주거 복지 수요 증가, 민간 실버타운의 고비용 구조, 주거·요양 복합시설 부족 등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특히 중산층 이상 연금 수급자들이 민간 실버타운 입소를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가 ‘과도한 비용 부담’이라는 점에서, 비교적 합리적인 비용의 공공 실버타운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네이트·연합뉴스 등 보도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이 계획 중인 공공 실버타운은 주거 기능뿐 아니라 의료·돌봄·문화생활까지 가능한 복합 노인복지주택 형태로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입주 자격은 일정 수준 이상의 연금 수급자 또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고령층으로 제한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 사업이 현실화될 경우, 주거 불안에 직면한 중산층 고령자들에게 새로운 노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사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부지 확보, 민간 시장과의 기능 차별화, 장기 운영 재원 조달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국민연금공단 관계자는 “중산층 연금 수급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노후 복지 인프라로서 공공 실버타운의 가능성을 다시 검토하고 있다”며 “정책적·재정적 지속 가능성까지 함께 검토해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