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로 대량 생산된 저품질의 ‘AI 슬롭(AI Slop)’이 인터넷 정보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다.
‘AI 슬롭’은 생성형 AI를 이용해 만든 가치 없고 조잡한 콘텐츠를 지칭하는 신조어다. 이는 돼지에게 주는 음식물 찌꺼기를 뜻하는 ‘슬롭(slop)’에서 파생됐으며, AI 시대의 ‘스팸’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AI 슬롭은 텍스트·이미지·영상·음악·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주로 조회수 확보, 여론 조작, 사기 등을 목적으로 제작된다.
AI 슬롭은 논리적 맥락 없이 시선을 끄는 기괴하고 의미 없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새우 예수’나 ‘아기 트럭’과 같은 이미지가 대표적인 사례다.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위해 깊이 없이 비슷한 내용을 반복하는 저품질 블로그 게시물과 뉴스 기사도 대량 생산한다.
AI 슬롭은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허위 정보를 담은 가짜 뉴스나 딥페이크 영상을 만들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과 소셜 미디어에서 AI가 자동으로 생성한 리뷰·댓글로 여론을 조작해 소비자를 기만한다.
유튜브 쇼츠나 틱톡에서는 인기 영상을 AI로 약간씩 변형해 독창성 없이 반복적으로 복제·생산한다. 일부 기업이 도입한 AI 챗봇은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학습해 이용자에게 허위 정보를 안내하는 문제도 일으킨다.
AI 슬롭은 인터넷의 신뢰도를 무너뜨리는 가장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용자들은 가짜 정보와 저품질 콘텐츠의 범람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기 힘들어지고 사실 판단에 어려움을 겪는다.
전문가들은 AI가 ‘AI 슬롭’을 다시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 AI 모델의 성능이 저하되는 ‘모델 붕괴(Model Collaps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관련기사]
유튜브, AI 생성 저품질 콘텐츠 수익 창출 제한한다